종류

연산방향

연산자

우선순위

단항 연산자

오른쪽 - 왼쪽

++    --    +    -    ~    !    (타입)

높음























낮음

산술 연산자

왼쪽 - 오른쪽

*    /    %

왼쪽 - 오른쪽

+    -

왼쪽 - 오른쪽

<<    >>    >>>

비교 연산자

왼쪽 - 오른쪽

<    >    <=    >=    instanceof

왼쪽 - 오른쪽

==    !=

논리 연산자

왼쪽 - 오른쪽

&

왼쪽 - 오른쪽

^

왼쪽 - 오른쪽

|

왼쪽 - 오른쪽

&&

왼쪽 - 오른쪽

||

삼항 연산자

왼쪽 - 오른쪽

?:

대입 연산자

오른쪽 - 왼쪽

=    *=    /=    %=    +=    -=    <<=    >>=    >>>=    &=    ^=    |=

△ 연산자의 종류와 우선순위

  • 연산자가 필요로 하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단항, 이항, 삼항 연산자로 나뉨


  • 기본형 변수 : 실제 값을 저장(Data)

    • boolean, char,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 총 8개

  • 참조형 변수 :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값을 저장

    • null, 4byte의 주소값

  • 참조형 변수는 변수의 타입으로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


1byte

2byte

4byte

8byte

논리형

boolean




문자형


char



정수형

byte

short

int

long

실수형



float

double

△ 기본형의 종류와 크기

  • 논리형 : true/false,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

  • 문자형 : 문자 저장에 사용, 문자를 내부적으로 정수 값 코드로 저장

  • 정수형 : 정수 값 저장

    • byte는 이진데이터

    • short는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

    • 주로 사용되는 것은 int, long

  • 실수형 : 실수 값 저장


boolean

char

byte

short

int

long

float

double

bit

8

16

8

16

32

64

32

64

byte

1

2

1

2

4

8

4

8

△ 8가지 기본형의 크기

  • 논리형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형은 서로 변환이 가능(형변환)

  • 정수형의 값의 범위는 -2^(n-1) ~ 2^(n-1)-1 (n은 bit수)

  • 논리형 - boolean

    • 기본값은 false

  • 문자형 - char

    •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‘’(작은따옴표) 사용

    • 문자의 코드를 저장하므로 음수가 필요 없음 - 첫 번째 자리에 부호를 사용 X

    • 어떤 문자의 유니코드를 알고 싶으면 int형 변수로 형변환

    •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부호없는 정수의 형태로 저장 - 모든 데이터가 숫자로 저장

    •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하므로 문자열을 저장하고 싶으면 String 클래스를 사용해야 함

    • String str = new String(“New”); / String str = “New”; 둘 다 가능

    • 덧셈 연산자(+)를 사용하여 문자열 결합 가능

    • +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산 수행

    • 한쪽만 String일 경우 +를 사용하면 비String인 데이터를 String으로 변환한 뒤 결합시킴

    • int와 같은 기본형 타입 값을 문자열로 변환할 때는 아무 내용없는 빈 문자열(“”)을 더해주면 됨

    • 어떤 타입의 변수라도 문자열과 +를 수행하면 결과는 문자열

특수문자

리터럴

tab

\t

backspace

\b

form feed

\f

new line

\n

carriage return

\r

역슬래쉬(\)

\\

작은따옴표

\’

큰따옴표

\”

유니코드(16진수) 문자

\u유니코드

ex)char a = ‘\u0041’

△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방법


  • 문자열 결합의 예

    • “” + 7 → “” + “7” → “7”

    • 7 + “” → “7” + “” → “7”


    • 7 + “ “ → “7” + “ “ → “7 “

    • “ “ + 7 → “ “ + “7” → “ 7”


    • 7 + “7” → “7” + “7” → “77”


    • 7 + 7 + “” → 14 + “” → “14” + “” → “14”

    • “” + 7 + 7 → “7” + 7 → “7” + “7” → “77”


    • true + “” → “true” + “” → “true”

    • null + “” → “null” + “” → “null”

  • 정수형 - byte, short, int, long

    • 다른 3타입과 달리 long 타입은 뒤에 L or l 붙여야 함

    • 16진수는 “0x” or “0X”, 8진수는 “0”를 앞에 붙이면 됨

      • int oct = 010; int hex = 0x10;

    • 왼쪽에서 첫 번째 자리는 부호자리(0이면 양수, 1이면 음수)

    • 입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오버플로 됨 - 2진수화 해서 생각

    • 오버플로되면 최소값부터 다시 반복됨

    • 변수의 범위를 넘는 값으로 초기화할 수 없음

  • 실수형 - float, double

    • 부동소수점 방식으로 저장

    • ±a * 10^n (a : 가수, n : 지수, 0 ≤ a < 1 범위의 실수)

    • float = 부호 1bit + 지수 8bit + 가수 23bit = 32bit = 4byte

    • double = 부호 1bit + 지수 11bit + 가수 52bit = 64bit = 8byte

    • float보다 double이 정밀도가 더 높음 - 더 높은 값 표현 가능

    • float는 뒤에 f or F를, double은 뒤에 d or D를 붙임(double은 생략 가능)

    • 값에 소수점, 10의 제곱을 나타내는 E or e, f, F, d, F를 포함하면 실수형

    • 10. = 10.0 / .10 = 0.10 / 3.14e3 = 3140.0 / 1e-3 = 0.001

  • 형변환(캐스팅)

    • 모든 연산은 같은 타입일 때만 수행

    • 형변환 : 변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- (타입)피연산자

    • 기본형-기본형, 참조형-참조형 은 가능하나 기본형-참조형 은 불가능

    • 피연산자는 형변환 후에도 변화가 없음, 값이 바뀌지 않음

    • 기본형은 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간에 형변환 가능

    • 범위가 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형변환 시 값 손실 발생할 수 있음

    •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형변환 시에는 값 손실이 없음 - 캐스트 연산자 생략 가능


byte → int

int → byte

10진수

10 / 10

300 / 44

값 손실

없음

있음

    • 실수형은 정수형과 값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같은 크기라도 실수형이 정수형보다 더 큰 표현 범위를 갖음

    • char와 short는 같은 2byte지만 범위가 다르므로 어느 쪽으로의 형변환도 값 손실이 있을 수 있음



  • 변수 :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

  •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

  •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 변수 타입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 공간이 확보됨

  • 초기화 필요, 처음에는 쓰레기값이 들어 있음

  • 변수의 명명 규칙

    • 대소문자 구별 가능, 길이에 제한 없음

    • 예약어를 사용하면 안 됨

      • true, false, else 등

    •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

    • 특수문자는 _와 $만 허용

  • 권장 규칙(필수는 아니지만 하면 좋음)

    •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

    •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가 대문자

      • lastIndex, StringBuffer 등

    •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


+ Recent posts